생활경제 인사이트

기준금리가 오르면 내 대출금리는 왜 올라갈까?

생활연구원 알파 2025. 4. 21. 11:05

📌 기준금리란 무엇인가요?

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자율로, 금융기관 간의 자금 거래에 기준이 됩니다. 쉽게 말해, 기준금리는 금융시장의 ‘기준 온도’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구분내용
정의 한국은행이 정하는 금융시장 기준 이자율
목적 물가 안정, 경기 조절, 유동성 조절
영향 대출, 예금, 환율, 주식 등 전반적인 자산시장에 영향
 

예를 들어,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.25%p 올리면, 그 여파는 시중 은행의 대출금리, 예금금리, 심지어 환율과 주식시장까지 영향을 줍니다.


💳 왜 내 대출금리도 따라서 오를까?

은행들은 한국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기준금리를 참고합니다. 이 기준금리가 오르면, 자금을 빌려주는 은행 입장에서도 ‘조달 비용’이 올라가기 때문에, 이를 대출금리에 반영하게 됩니다.

특히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사람이라면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.

항목변동금리고정금리
기준금리 영향 큼 (즉시 반영) 작음 (기간 내 고정)
이자 변동 시장 상황 따라 매번 달라짐 고정 기간 동안 일정
금리 상승기 부담 커짐 상대적으로 안정
 

최근에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80%에 육박하며, 많은 가계가 금리 인상기에 이자 부담을 체감하고 있습니다.


📉 실제 예: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

  • 월 3억 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A씨
    → 작년 이자는 월 25만 원 → 올해는 34만 원으로 증가
    → 연간 108만 원 이상 추가 지출 발생

이는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니라 가계 지출과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,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줍니다.


✅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대응 전략

  1. 내 대출이 고정금리인지 확인하기
    • 만약 변동금리라면, 금리 인상기에는 고정금리로 전환 검토
  2. 대출 상환 전략 재점검
    • 여유 자금이 있다면 원금 일부 상환을 고려
    • 상환 스케줄 조정으로 이자 부담 최소화
  3. 예·적금 금리 상승 활용
    • 기준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도 올라감
    • 자산 분산으로 이자 수익 증가 가능

💬 마무리 요약

기준금리 = 시장 전체 이자의 기준값.
그 값이 오르면 내 대출이자도 자연히 따라 올라간다.

단순한 금융 용어로 느껴질 수 있지만, 기준금리는 우리의 주거비, 소비, 저축 습관까지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. 지금 내 대출 조건을 다시 한 번 점검해보세요.


🔖 관련 키워드

#기준금리 #대출금리 #금융상식 #생활경제 #변동금리 #고정금리 #금리인상대응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