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블로그 9

반도체 장비의 끝판왕, 왜 ASML은 독점일까?

“한 대에 2,000억 원!”그저 놀라운 가격이 아니라, 전 세계 반도체 생산의 핵심이 되는 장비입니다.이 장비를 만드는 회사는 단 하나, 바로 네덜란드의 ASML.그렇다면 왜 ASML만이 독점 기업이 되었을까요?🔬 1. EUV 장비는 ‘ASML 독점’EUV(극자외선): 7나노 이하 첨단 반도체 공정에 필수개발 기간 10년+, 투자금 10조 원 이상→ ASML만 양산 가능TSMC, 삼성, 인텔 등 전 세계 첨단 파운드리 모두 의존 중📌 “이 장비 없으면 첨단 반도체는 못 만든다!”⚙️ 2. 기술 독점이 가능한 이유는?광원 기술: 미국 사이머렌즈 기술: 독일 카를자이스조립·생산: 네덜란드 ASML즉, ASML은 미국-유럽 기술 동맹체의 산물→ 단일 국가나 기업이 복제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구조💡 일본,..

일본 반도체는 왜 다시 주목받고 있을까?

1980~90년대 반도체 강국으로 세계를 호령하던 일본.하지만 기술 변화와 미국의 견제 속에서 서서히 존재감이 희미해졌습니다.그런데 최근, 일본 반도체가 다시 세계 무대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어요. 왜일까요?🧪 1. 소재·장비 부문은 여전히 세계 최강반도체 제조 핵심 소재: 포토레지스트, 에칭가스, 실리콘 웨이퍼 등→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대부분 일본 기업장비 기업: 도쿄일렉트론, 니콘, 캐논 등 첨단 장비 보유없으면 못 만드는 수준의 ‘비가시적 핵심 기술’ 보유국📌 ‘첨단 공정은 TSMC, 기초 소재는 일본’→ 일본 없이 첨단 반도체는 불가능!🤝 2. TSMC·미국과 손잡고 ‘재건 프로젝트’ 시동일본 정부: 반도체 재부흥 위해 보조금+세제+인프라 파격 지원TSMC: 구마모토 지역에 공장 건설 ..

중국은 반도체를 정말 자급할 수 있을까?

미국의 강력한 수출 규제 속에서 중국은 반도체 자립을 선언했습니다.하지만 반도체는 단순한 부품이 아니라, 설계부터 제조까지 수십 개 기술이 엮인 종합 산업입니다.그렇다면, 중국은 과연 반도체 자립이 가능할까요?🧠 1. 설계는 상당히 따라잡았다중국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이미 자체 칩을 설계 중입니다.화웨이: 스마트폰 칩 ‘기린 9000s’, AI칩 ‘Ascend’ 시리즈 개발바이두: 자체 AI 학습용 칩 ‘쿤룬’ 시리즈알리바바: 클라우드 추론용 칩 ‘한광(含光)’📌 팹리스(설계 영역)에서는 기술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입니다.🏭 2. 하지만 제조 공정은 높은 벽SMIC: 7나노 공정 구현 성공 주장 → 그러나 EUV 장비 부재수율, 전력 효율, 안정성 등에서 TSMC·삼성과 큰 격차ASML ..

한때 세계 1위였던 인텔,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?

“반도체 하면 인텔!”이란 말이 통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.하지만 지금은 파운드리는 TSMC, 메모리는 삼성, AI칩은 엔비디아가 주도하고 있죠.그렇다면, 인텔은 왜 이렇게 뒤처졌고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요?⏳ 1. 절대 강자였던 시절인텔은 세계 최초의 CPU(마이크로프로세서) 개발 회사2000년대 중반까지 PC 시장과 서버 시장의 절대강자하지만 모바일 혁신과 AI 기술 변화에 적응이 느림📌 결정타: 10nm 이하 공정 전환 지연 → TSMC에 기술 주도권 넘김🔍 2. IDM 모델의 한계가 드러나다인텔은 ‘IDM(설계+제조 통합)’ 구조를 유지했지만:TSMC, 엔비디아 등은 팹리스+파운드리 분업화 → 기술 속도 강화내부 생산 고집 → 시장 변화 속도 따라가기 어려움파운드리 경쟁력, AI 대응력 모두 뒤..

삼성은 왜 TSMC를 넘지 못할까?

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지만,‘파운드리(반도체 위탁 생산)’ 시장에서는 대만의 TSMC에게 밀리고 있습니다.같은 첨단 반도체 기업인데도 왜 이처럼 격차가 벌어지는 걸까요?🧪 1. 기술력은 있다, 그런데 고객이 없다?삼성 파운드리는 세계 최초로 3나노 GAA(게이트올어라운드) 기술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.하지만 주요 고객들은 여전히 TSMC를 선택합니다.TSMC 고객: 애플, AMD, 엔비디아 등선택 이유: 생산 안정성, 전용 라인 제공, 장기적 파트너십📌 기술은 무기, 고객은 전장.삼성은 무기를 갖췄지만 충분한 실전 무대가 부족한 상황입니다.🏭 2. '종합반도체(IDM)' 구조의 딜레마삼성은 ‘설계 + 제조 + 메모리’를 모두 갖춘 IDM(Integrated Devic..

왜 전 세계 반도체는 대만에서 만들어질까?

우리가 쓰는 스마트폰, 노트북,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가 들어갑니다.그런데 이 핵심 부품의 상당수가 한 국가, 대만에서 생산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그 중심에는 전 세계 파운드리(반도체 수탁 생산) 시장을 장악한 기업, TSMC가 있습니다.🏭 1. TSMC는 어떤 기업일까?TSMC(타이완반도체제조):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약 60% 이상주요 고객: 애플, 엔비디아, AMD, 퀄컴, 인텔 등3~5나노급 초미세 공정에서 독보적 기술력 보유자체 브랜드 제품은 없지만, 전 세계 반도체를 설계한 기업들이 의존하는 존재📌 쉽게 말하면, "세계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를, 가장 정밀하게 만들어내는 회사"입니다.⚠️ 2. 왜 ‘위험한 독점’인가?TSMC는 기술력은 뛰어나지만, 지정학적 리스..

고율 관세, 진짜 효과가 있을까?

고율 관세, 진짜 효과가 있을까?미국이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.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“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245%까지 관세를 매기겠다”고 선언했는데요.이런 극단적인 조치가 정말 실효성이 있는 전략인지, 글로벌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봅니다.📉 1. 중국산 수입, 줄긴 줄었다... 하지만?2018년~2020년,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고,일부 품목의 수입은 실제로 감소했습니다.그러나 동시에 나타난 현상은?✅ 다른 국가를 통한 우회 수입 증가✅ 생산지만 바뀌고 실질은 동일한 제품✅ 글로벌 공급망 내 이동 현상 가속화📌 단순히 “중국산 억제” 효과는 제한적이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💸 2. 결국 소비자가 손해?관세는 본질적으..

중국에 최대 245% 관세… 지금은 '무역'이 아닌 '보복의 시대'다

⚠️ 트럼프 式 고율 관세, 다시 시작됐다미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는경제 조정보다도 정치적 무력 시위에 가깝습니다.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, 재출마 선언 이후“중국 전기차엔 100% 이상, 최대 245%까지 관세” 예고배경: “중국이 미국을 속이고, 미국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”📌 관세가 단순 무역조정이 아닌 정치적 레버리지로 사용되는 현상입니다.🚗 타깃은 전기차, 배터리, 태양광품목이유전기차점유율 급상승 + 보조금 덤핑 우려배터리미국 전기차 산업 보호 필요성태양광 패널저가공세에 의한 미국 내 산업 침해 미국은 중국이 국가 보조금을 이용해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하며,이들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입 장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🌐 한국 기업은 어디에 설 것인가?기업/산업리스크 요..

한국, 왜 반도체 외교의 외줄 타기를 하고 있을까?

📌 기술은 최강, 외교는 복잡2020년대 들어 반도체는 국가 간 패권 다툼의 핵심 자원이 되었습니다.미국은 기술 통제를 강화하며 중국과의 기술 차단을 시도하고 있고,중국은 자체 칩 개발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그 사이에 낀 나라 — 바로 한국입니다.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미국과 중국, 양측 모두와 깊은 교역 관계→ 이른바 ‘외줄 타기 전략’이 필요한 시대가 된 거죠.1️⃣ 한국, 반도체 산업의 세계 핵심 플레이어한국은 설계-제조-패키징까지 가능한 몇 안 되는 반도체 국가입니다.기업강점삼성전자메모리 1위, 파운드리 2위 (TSMC 다음)SK하이닉스HBM, DDR 등 AI 메모리 기술 강자 📌 전 세계 AI·모바일·클라우드 산업이 한국 반도체에 의존 중→ 미국과 중국 모두 한국을 필요로 함2️⃣ 미국의 전략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