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 속 경제 이야기/《글로벌 반도체 전쟁, 3분만에 이해하기》

3편. 한때 세계 1위였던 인텔,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?

그리움은한때 2025. 4. 22. 10:00

2000년대 초만 해도 “반도체 = 인텔”이란 공식이 있었죠. 하지만 지금은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, 메모리에선 삼성, GPU에선 엔비디아가 앞서갑니다.

그렇다면 인텔은 왜 이렇게 밀려났을까? 그리고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?


⏳ 1. 한때는 절대 강자였다

  • 인텔은 세계 최초의 CPU(마이크로프로세서)를 만든 회사예요
  • 2000년대 중반까지는 전 세계 PC 시장의 중심이었고, 기술력도 독보적이었죠
  • 하지만 모바일 시대 → AI 시대 전환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함

📌 특히 10nm 이하 첨단 공정 전환이 지연되며 TSMC와 기술 격차 발생


🔁 2. IDM 모델의 한계에 부딪혔다

  • 인텔은 ‘설계부터 제조까지 한 회사가 다 하는’ IDM(종합반도체) 모델을 고수
  • 반면, TSMC·엔비디아 등은 팹리스 + 파운드리 분업 구조로 전문화·속도 강화
  • 자체 생산의 장점도 있지만, 기술 변화 대응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드러남


🔧 3. 인텔의 반격: IDM 2.0 전략

  • 인텔은 ‘설계 + 생산’에서 → ‘생산은 외부도 받겠다’는 구조로 전환
  •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(IFS) 출범, 삼성·TSMC에 도전장
  • 美 애리조나·오하이오, 독일 등 글로벌 대규모 공장 투자 발표
  • AI·고성능 반도체 시장 중심으로 재진입 시도

💡 AI용 가우디3 칩, 퓨어 플레이 파운드리 강화 등으로 2차 도약 노림수


🧭 결론: 인텔은 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?

  • 인텔은 여전히 R&D 자본, 고객 기반, 기술 인력 등에서 탄탄한 기반 보유
  • 하지만 시장은 이미 TSMC와 삼성 중심의 질서로 재편 중
  • 인텔의 부활 여부는 AI·고성능 분야에서 얼마나 빠르게 자리잡느냐에 달렸어요


💬 독자 질문

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 인텔의 ‘IDM 2.0’ 전략이 통할 수 있을까요? 파운드리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을지,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!


🏷 해시태그

#글로벌반도체전쟁 #인텔부활 #IDM2.0 #인텔파운드리 #TSMC #삼성파운드리 #AI반도체 #고성능칩 #쉽게보는경제 #경제블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