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지갑을지키는경제 4

4화 물가가 3% 올랐다는 게 체감이 안 되는 이유는?

“뉴스에선 물가가 3% 올랐다는데,나는 왜 월세도, 마트 장보기 값도 10% 오른 것 같죠?체감 물가랑 발표된 물가가 왜 이렇게 차이 나는 거예요?”📊 핵심 개념: '물가'와 '체감 물가'는 다르다구분설명소비자물가지수(CPI)정부가 발표하는 대표적인 물가지표체감 물가실제로 개인이 느끼는 물가 상승 체감차이 원인통계는 평균값 기준, 사람마다 소비 항목·비중이 다르기 때문예를 들어, 고령층은 의료비 상승에 민감하고2030은 식비·교통비 상승에 더 민감합니다.📉 왜 체감 물가는 더 높게 느껴질까?내가 자주 사는 품목이 더 많이 올랐을 경우라면, 채소, 배달비 → 소비 비중이 높을수록 민감주거비, 교육비처럼 큰 항목에서 급등한 경우월세, 관리비, 학원비는 CPI보다 오히려 더 빠르게 오르는 경우가 많음심리적..

3화 전세금 보장 된다더니, 왜 내 전세금은 위험한 거죠?

“집주인이 전세보증보험 들었으니까 걱정 말라더니,깡통전세라는 뉴스가 터지고,심지어 세입자가 돈 못 돌려받았다는 소식까지 나왔어요.전세보증보험 있으면 다 안전한 거 아닌가요?”📊 핵심 개념: '깡통전세'란?항목설명깡통전세집값 하락으로 전세보증금이 매매가보다 더 높은 상황전세보증보험전세금을 못 받을 경우, 대신 보장해주는 보험제도위험 요인집값 하락, 근저당 잡힌 주택, 위장 계약 등즉, ‘보험이 있다고 다 안전한 게 아니라’,주택의 상태와 집주인의 상황도 함께 봐야 합니다.🧨 전세금이 위험해지는 대표적인 상황집값 → 경매 나가도 세입자 보증금 전액 못 돌려받음보증보험 가입 불가 또는 만기 해지→ 가입 대상이 제한되거나, 가입했더라도 만기 후 보장 사라짐위장 임대인 또는 다중근저당→ 집주인이 대출을 많이 ..

2화 환율이 오르면 여행 말고도 손해 보는 게 있다고요?

“해외여행 갈 때 환율이 오르면 손해라는 건 알겠는데요,그 외에도 회사에서 수입하는 원재료값도 오른다고 하더라고요?그게 내 지갑에도 영향을 준다구요?”📊 핵심 개념: '환율'이란?항목설명정의외국 돈과 우리 돈을 바꾸는 비율 (예: 1달러 = 1,400원)기준보통 ‘달러 대비 원화 환율’을 기준으로 뉴스에 등장성격수출입 가격, 외화 투자, 소비자 물가에 광범위한 영향환율은 단순히 여행 경비 문제가 아니라, 생활물가·기업 수익·국가 경쟁력까지도 좌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.💸 환율이 오르면 생기는 생활 속 영향여행비용 ↑항공권, 호텔, 현지 환전 비용 상승 → 체감 쉬움수입물가 ↑ → 생활비 ↑원유·곡물·기계 등 수입품 가격 상승기름값, 라면값, 커피값까지 오를 수 있음기업 비용 ↑ → 제품가 ↑수입 원재료..

1화 기준금리가 오르면 왜 내 대출이 올라요?

“작년에 월 25만 원 이자 내던 주택담보대출, 요즘은 34만 원이에요.은행에 물어보니 '기준금리 인상 때문'이라는데…도대체 기준금리가 뭔데 이렇게 영향이 큰 거죠?”📊 핵심 개념: ‘기준금리’란?항목내용정의한국은행이 발표하는, 시중 금융기관 간 거래에 기준이 되는 이자율목적물가 안정, 경기 조절, 시장 유동성 관리영향대출금리, 예·적금 금리, 채권, 환율 등 광범위한 자산에 영향즉, 기준금리는 금융시장의 ‘온도조절기’ 역할을 합니다.🧠 왜 내 대출금리가 오를까?은행은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에 따라 자금을 조달기준금리가 올라가면 → 시중은행 대출금리도 연쇄적으로 인상특히 변동금리 대출자는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음고정금리 대출자는 일정 기간 동안 이자율이 고정되지만,변동금리는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바로 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