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 속 세상 이야기/듣고 나면 불안해지는 안보 현실

[2화] ‘국가보안법 폐지’가 진짜 위험한 이유

그리움은한때 2025. 4. 22. 12:00

"자유냐, 무장이냐"

“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한다고요?”
이 말이 요즘 다시 정치권과 시민단체 사이에서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습니다.

누군가는 말합니다.

“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시대착오적 악법이다.”
하지만 현실은 말합니다.
그 법이라도 있으니까 나라가 유지된 거다.


🔍 국가보안법이 뭔가요?

제정연도: 1948년
목적:

  • 북한과 연계된 간첩, 이적단체, 사상 침투 행위를 처벌
  • 무장전복 활동 및 반국가단체 활동 감시

핵심 조항들:

  • 제3조: 반국가단체 구성·가입
  • 제4조: 이적 표현물 제작·배포
  • 제6조: 회합·통신, 지령 수수 등

즉, 북한과 관련된 모든 위협 행위에 대한 유일한 법적 장치입니다.


📌 폐지 주장과 그 논리

주장근거
표현의 자유 침해 비판이나 사상을 이유로 처벌당할 위험
독재시절 악용 과거 야당 탄압의 수단으로 쓰인 사례
민주 국가 이미지 손상 해외에선 이런 법 없다며 ‘국가 이미지’ 언급


🚨 그런데, 폐지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?

📛 [문제 1] 간첩 활동 수사·처벌할 법적 근거가 약화됨

  • 간첩죄는 형법에도 있지만, 지령 수수, 회합 통신 같은 중간 단계 행위는 국보법이 전담
  • 국보법이 사라지면 대부분의 간첩 활동이 법적 회색지대로 빠짐

📛 [문제 2] 사상 침투·온라인 선전활동에 무방비

  • 유튜브, SNS에서 북한 찬양, 체제 선전, 자유민주주의 비방 콘텐츠 증가 중
  • 현재는 국가보안법으로 제재 가능
    → 폐지 시 “표현의 자유”로 넘어감

📛 [문제 3] 탈북민 대상 심리전 무력화

  • 북한에서 지령 받은 탈북자들이 민간 단체·지역사회 침투
  • 국보법 폐지되면 이들의 행동 감시·처벌이 어려워짐


🌍 해외 사례 – "선진국은 다 폐지했으니까?"

🙅‍♂️ 아닙니다. 국가마다 다 ‘형태만 다를 뿐’, 자국 안보 보호법은 존재합니다.

국가내용
🇺🇸 미국 애국자법(PATRIOT Act) 통해 간첩·테러 조직 철저 감시, 표현 제한 포함
🇩🇪 독일 극좌·극우 단체 해산 가능 / 표현·사상보다 “헌법질서 위협 여부” 기준
🇯🇵 일본 특정비밀보호법 → 국가 기밀 누설 및 이적 활동 강력 처벌 가능

➡ 이들 모두, 자국의 ‘헌정 질서와 안보’를 보호하기 위한 법은 절대 없애지 않음


🧠 진짜 무서운 건 '간첩이 아니라 제도 허점'

국보법 폐지 논쟁은 단순한 이념 논쟁이 아닙니다.
‘국가 생존 장치’를 없앨 것이냐 말 것이냐의 문제입니다.

표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
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자체가 무너질 수 있는 위험, 감당할 수 있을까요?


🎯 마무리 메시지

“국가보안법이 없어지면,
진짜 말 못하게 되는 건 우리가 될지도 모릅니다.


🔖 다음 화 예고

[3화] 탈북자인 줄 알았는데 간첩이었다?
진짜 있던 실화, 위장 탈북 간첩 사건 총정리

 

관련 글 링크

https://departingdaily.tistory.com/entry/1%ED%99%94-%EA%B0%84%EC%B2%A9%EC%9D%80-%EC%9E%88%EB%8A%94%EB%8D%B0-%EC%9E%A1%EC%A7%80%EB%8F%84-%EB%AA%BB%ED%95%98%EB%8A%94-%EB%82%98%EB%9D%BC

 

[1화] 간첩은 있는데, 잡지도 못하는 나라?

"대한민국은 간첩 공화국이었을까?"2024년 대만.전직 군사정보국장이 깜짝 놀랄 폭로를 했습니다.“중국 간첩이 대만 내에 5천 명 넘게 활동 중입니다.”충격적이죠. 그런데 이게 남 얘기일까요?

departingdaily.tistory.com

 

#국가보안법 #보안법폐지논란 #대한민국안보 #간첩수사 #자유민주주의 #정치시리즈 #듣고나면불안해지는안보현실 #시사이슈 #안보현실